국립민속박물관이 2025년 2월 12일(수) “을사년 정월대보름 한마당”을 개최합니다. 본관과 파주관에서 다양한 전통 체험 및 특별 행사들이 준비되어 있어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정월대보름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 전통 민속놀이부터 특별 공연, 공예 체험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만나보세요.
정월대보름 한마당 행사 일정
주요 체험 프로그램
정월대보름을 맞아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특별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방문객들은 전통 민속놀이부터 공예 체험까지 다채로운 활동을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특별 행사
프로그램 | 운영 시간 | 참가 인원 |
---|---|---|
정월대보름 약밥 나누기 | 10:00, 15:00 | 각 200개 제공 |
농사꾼의 한판 대결 | 상시 운영 | 선착순 300명 |
복을 부르는 여섯거리 특별공연 | 14:00 | 제한 없음 |
파주관 프로그램
파주관에서는 본관과는 다른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전통 문화와 관련된 체험을 원하는 분들은 일정에 맞춰 방문해보세요.
참가 안내
모든 행사는 현장접수로 진행되며, 대부분 무료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단, 일부 체험 프로그램은 인원 제한이 있으므로 선착순 마감될 수 있습니다. 행사 일정과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미리 준비하면 더욱 즐겁게 정월대보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의 의미와 유래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일 년 중 달이 가장 크고 밝은 날입니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이 날을 맞아 다양한 세시 풍속을 즐겼으며,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는 여러 가지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대표적인 풍속으로는 부럼 깨기, 귀밝이술 마시기, 쥐불놀이 등이 있습니다.
- 부럼 깨기: 정월대보름 아침에 땅콩, 호두, 잣 등의 견과류를 깨물어 먹으며 한 해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기를 기원하는 풍습입니다.
- 귀밝이술: 정월대보름 아침에 찬 술을 마시는 풍습으로, 귀가 밝아지고 좋은 소식을 많이 듣게 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 쥐불놀이: 논밭에 불을 놓아 해충을 없애고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전통 풍습입니다. 현재는 축제 형식으로 재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는 정월대보름 한마당은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전통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행사를 통해 우리 전통문화의 깊이를 느끼고,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내보세요.
정월대보름 행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국립민속박물관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