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민속박물관 정월대보름 한마당 2025 일정, 체험 프로그램 총정리!

국립민속박물관이 2025년 2월 12일(수) “을사년 정월대보름 한마당”을 개최합니다. 본관과 파주관에서 다양한 전통 체험 및 특별 행사들이 준비되어 있어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정월대보름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 전통 민속놀이부터 특별 공연, 공예 체험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만나보세요.

정월대보름 한마당 행사 일정

image 3

주요 체험 프로그램

정월대보름을 맞아 국립민속박물관에서는 특별한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방문객들은 전통 민속놀이부터 공예 체험까지 다채로운 활동을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image 4

특별 행사

프로그램운영 시간참가 인원
정월대보름 약밥 나누기10:00, 15:00각 200개 제공
농사꾼의 한판 대결상시 운영선착순 300명
복을 부르는 여섯거리 특별공연14:00제한 없음

파주관 프로그램

파주관에서는 본관과는 다른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전통 문화와 관련된 체험을 원하는 분들은 일정에 맞춰 방문해보세요.

image 5
출처: 정월대보름 한마당 홈페이지

참가 안내

모든 행사는 현장접수로 진행되며, 대부분 무료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단, 일부 체험 프로그램은 인원 제한이 있으므로 선착순 마감될 수 있습니다. 행사 일정과 프로그램을 확인하고 미리 준비하면 더욱 즐겁게 정월대보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의 의미와 유래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일 년 중 달이 가장 크고 밝은 날입니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이 날을 맞아 다양한 세시 풍속을 즐겼으며, 풍년과 건강을 기원하는 여러 가지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대표적인 풍속으로는 부럼 깨기, 귀밝이술 마시기, 쥐불놀이 등이 있습니다.

  • 부럼 깨기: 정월대보름 아침에 땅콩, 호두, 잣 등의 견과류를 깨물어 먹으며 한 해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기를 기원하는 풍습입니다.
  • 귀밝이술: 정월대보름 아침에 찬 술을 마시는 풍습으로, 귀가 밝아지고 좋은 소식을 많이 듣게 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 쥐불놀이: 논밭에 불을 놓아 해충을 없애고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전통 풍습입니다. 현재는 축제 형식으로 재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열리는 정월대보름 한마당은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전통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다양한 프로그램과 행사를 통해 우리 전통문화의 깊이를 느끼고, 한 해의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뜻깊은 시간을 보내보세요.

정월대보름 행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국립민속박물관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